본문 바로가기

캐나다 워킹홀리데이

캐나다 텍스리턴 4 - 텍스리턴 싸이트 비교 (Comparison of 3 homepages used for Tex Return)

캐나다에서 텍스 리턴을 위해 사용하는 세 가지 홈페이지를 사용해봤습니다.

심플 텍스, 터보 텍스, 스튜디오 텍스입니다. 이 세 가지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 같았어요. 이것 말고도 더 있는지 없는지는 모릅니다.

한 가지만 가지고 텍스 리턴하기도 벅찬데 세 가지 모두를 사용해본 이유는 홈페이지에 따라 리턴 금액이 달라질 수도 있다고 하는 후기를 봤기 때문이에요. 같은 정보를 입력했는데 금액이 달라진다니 이게 무슨 소리인가 하면서 의심했어요. 하지만 또 제 손으로 직접 해봐야 하는 이 성격.. 어찌 되었든 한 푼이라도 더 받을 수 있다면 이 시국에 감사하죠.

물론 CSI보다 집요하다는 CRA에게 거짓된 정보로 돈을 더 받았다가는 나중에 이자와 함께 돌려드려야 합니다. 

심플텍스와 터보 텍스는 홈페이지에 정보를 입력하여 금액을 산정하고 온라인 어플라이하는 방식입니다. 스튜디오 텍스는 파일을 다운받아서 그 프로그램을 실행시켜하는 방식입니다. 약간 다르죠.

저는 모두 같은 정보를 입력했지만 금액이 다르게 산정되었어요. 제가 생각하는 이유는 전체틀은 같으나 세부적인 사항 중에 내가 선택할 수 있고 없고의 차이인 것 같아요.

예를 들어 심플텍스의 경우는 Climate incentive를 제가 선택하고 rular 지역까지 선택해서 가산금을 더 받을 수 있도록 되어있지만 터보 텍스나 스튜디오 텍스의 경우에는 캐나다 입국한 날짜를 넣으면 자동으로 배제되는 것 같더라구요.

좀 더 상세히 183일 이상이면 레지던스이다 아니다가 선택의 기로였는데 터보 텍스는 레지던스가 아니다에 체크하면 인센티브가 자동으로 빠졌어요. 심플 텍스의 경우는 레지던스가 아니다라고 체크, 캐나다 내에 입국한 날짜를 적어도 인센티브를 제가 선택할 수 있었고요.

 그래서 저는 선택이 가능한 심플 텍스로 신청했습니다. 제일 많은 금액이 산정되었고 쓰기도 저에겐 가장 편했거든요. (심플 텍스 사용후기 https://joyjoyjoyjoy.tistory.com/4)

 

텍스 신고 혼자 하시는 분들은 시간이 있으시면 세 가지 비교해 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. 근데 전.. 좀 힘들었어요. T4를 3개 입력해야 하는데 세 번을 해야 해서^^ 내년 텍스 리턴 때에는 그냥 한 가지 골라서 하려구요.

 

심플 텍스 https://simpletax.ca/

터보 텍스 https://turbotax.intuit.ca/tax-software/returning.jsp

스튜디오 텍스 https://www.studiotax.com/en/

 

 

아래는 스튜디오 텍스와 터보 텍스 사용 시 캡쳐해 놓은 화면이에요. 참고하세요.

 

아래는 터보 텍스 사용 시 캡처본입니다. 심플 텍스와 굉장히 비슷한 폼이에요.